
1918번: 후위 표기식 첫째 줄에 중위 표기식이 주어진다. 단 이 수식의 피연산자는 A~Z의 문자로 이루어지며 수식에서 한 번씩만 등장한다. 그리고 -A+B와 같이 -가 가장 앞에 오거나 AB와 같이 *가 생략되는 등의 수식은 주어지지 않는다. 표기식은 알파벳 대문자와 +, -, *, /, (, )로만 이루어져 있으며, 길이는 100을 넘지 않는다. www.acmicpc.net 1935번: 후위 표기식2 첫째 줄에 피연산자의 개수(1 ≤ N ≤ 26) 가 주어진다. 그리고 둘째 줄에는 후위 표기식이 주어진다. (여기서 피연산자는 A~Z의 영대문자이며, A부터 순서대로 N개의 영대문자만이 사용되며, 길이는 100을 넘지 않는다) 그리고 셋째 줄부터 N+2번째 줄까지는 각 피연산자에 대응하는 값이 주어진다..

14717번: 앉았다 영학이의 패를 뜻하는 두 개의 정수 A, B가 주어진다. (1 ≤ A, B ≤ 10) www.acmicpc.net 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 card = list(range(1, 11)) * 2 # 카드풀 생성 my_card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# 내가 뽑은 카드 card.remove(my_card[0]) card.remove(my_card[1]) rank = list(permutations(card, 2)) # 순열을 이용해서 족보 생성 rank.sort(key=lambda x: (x[0] == x[1], (x[0] + x[1]) % 10, x[0])) # 내 카드가 땡일때 if my_card[0] ==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devcon
- 코딩테스트
- 노마드코더
- 프론트엔드
- 타입스크립트
- python3.8
- 기계식 키보드
- 합격
- boj
- 네트워크
- DevOps
- github
- 개발자
- 개발자북클럽
- 후기
- 대전
- 프로그래머스
- 오픈소스
- 개발자밋업
- 파이썬
- 노개북
- 회고
- SW마에스트로
- 알고리즘
- ssi-at
- 백준
- python
- IT대외활동
- 클린코드
- 오픈소스기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